스타트업/경영생각 2014. 7. 17.
공대생 글쓰기 정보
글쓰기..한숨이 나온다.검색을 해보면, 여기저기 방법이 많다. 실제로는 쓸 글감이 없다는 게 문제인데, 형식에 치우쳐 여기저기 허우적댄다.무튼 빤짝 찾아 낸 글쓰기 가이드 사이트. 단, 영어라는 거 ㅋㅋ http://www.writing.engr.psu.edu/ 그중에서 간단히 가져와서 쓸수 있는 포맷들Correspondence Memo Format: html or pdf Sample Memo: html, or pdf Letter Format: html, or pdf Sample Letter: html, or pdf E-mail Format Résumés 거참, 스피킹 가이드도 있네. 부록처럼 =)
IT 2014. 7. 17.
AHB 버스 사용시에 Byte alignment
Microsemi Application note 에 있는 그림을 잘라 가져온다. 약간 헷갈릴 수 있는데, 그림으로 잘 그려두었다.기본이 4바이트(워드라고 부른다)로 동작을 하니 바이트 동작을 하는 경우 alignment가 신경 쓰인다. 그냥 콱 4바이트 전용으로 동작하면 좋으련만 녹록치 않다 세상은. ^^그림을 보면 이해가 쏙, HADDR의 하위 2비트를 옵셋으로 사용하고, HSIZE가 동작 단위이다.당연히 HSIZE="00" 인 경우 바이트 동작이므로 4가지의 경우가 생기고HSIZE="01" 인 경우 2바이트 단위이므로 2가지의 경우가 생긴다. (상상일 수 있지만, HADDR[1:0] = "00" 이나 "01" 이라도 같은 동작일 듯 하다. 상위비트로 구분할 듯)그리고, HSIZE = "10" 인 경우..
스타트업/경영생각 2014. 7. 17.
국내 지식 공유 플랫폼(서비스) - 모임, 세미나, 교육
자기 개발, 기술 세미나, 다양한 오프 모임, 취미등등 배움거리. 어디서 찾나?이런 정보들을 알아서 모아두고, 소개하고 있는 곳을 찾기위해 열심히 구글링 onoffmix 같은 사이트가 눈에 띄고, 잡다한 학원들이 쭉..원하는 것은 onoffmix 같은 서비스인데, 일단 좀 더 "지식 공유" 이런 키워드로 검색하니 참고글 몇가지.. (원본글 : 지혜를 나누기 위한 오프라인 모임을 위한 온라인 공유 플랫폼)온오프믹스(http://onoffmix.com) : 온-오프라인 행사/이벤트 관리 서비스 (개설자와 참석자)위즈돔(http://www.wisdo.me) : 지혜의 나눔을 통해 사람과 사람을 매듭짓는 지혜 공유 플랫폼마이크임팩트스쿨(http://www.micimpactschool.com) : 강연을 통해 긍..
IT 2014. 7. 17.
Keil Compiler 관련 자료
그냥 발표자료이다. 쭉 처음부터 읽어보면 된다.Keil uvision으로 간단히 프로그램 만들고, 디버깅하는 것들, 유용한 기능들에 대한 설명이 쭉 되어 있다. 내용참조 : Keil Overview - MIT 비슷한 자료지만, 기왕 찾은 것 하나더 첨부"Development Tools for ARM-Powered Devices" - MDK-ARM, 디버그 종류에 따른 기능도 간단히 비교해주고 EVB 그림도 하나 나오고 ^^, 단 2009년 자료라는 것.. 내용참조 : http://www.emcu.it/KEIL/mdk_4.00_full.pdf ㅋㅋ 짤은 십여년전에 배운 컴파일러책~~~ Compilers by mrjoro
IT 2014. 7. 17.
mbed 소개자료
ARM 에서 밀고 있는 무료 온라인 컴파일 환경사이트 주소는 http://mbed.org 이다.요즘 플랫폼도 많고, 사용자도 많아진 듯. NXP, ST, Freescale 어떤 칩을 쓰던 쉽게 컴파일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다.난 간단한 "Hello World" 수준의 프로그램밖엔 못해봤지만.많이 자동화 되어 있고, 라이브러리도 많이 있다. 한글자료로 찾아보니 거의 하나밖에는 없네..그래도 복사해서 소개 출처 : http://wiki.vctec.co.kr/devboard/mbed 하위 페이지 나열[ARM mbed 강좌] 01. mbed 소개[ARM mbed 강좌] 02. mbed 구입, 유저등록, 기본테스트[ARM mbed 강좌] 03. mbed 소스작성, 컴파일, 업로드[ARM mbed 강좌] 04..
IT 2014. 7. 17.
RF Consideration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간단하게 본게 아까워서 여기에 남겨둠. 에버노트 플러그인 기능 확인도 할 겸..꼭 원본 글을 보자. 삽질한 내용만 보다가는 실패할 수도 ^^;;살펴보면 자세하게 관련된 논문링크도 있고, 영어도 배우고 좋을 듯 원본 글 : RF Consideration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아래내용은 간단히 필요한 내용만 추려서 삽질~~ 전통적인 WSN은 센서, MCU, RF로 구성이 된다. 센서는 언제나 파워가 공급된다 배터리로, 따라서 파워소모량이 핵심적인 고려사항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처리하는 과정 보다 데이터 송수신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것이 핵심 따라서 RF 송수신이 파워소모측면에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선택에는 tradeoffs가 있다. 한예로 WiFi는 54Mbp..
IT 2014. 7. 17.
Sensors as a Service on the IoT - ARM Connected Community
요즘은 비교적 저렴하고 효과적인 센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IoT에 걸맞게 통신을 겸비한, 이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와 있다. ARM에서 백서를 나름 각 요소 기술별로 소개를 해준다. Sensors as a Service on the Internet of Things WP.pdf (315.6 K)View Download 그 중 통신을 위한 기술들 소개부분에서 발췌..센서노드이므로, 가벼운 프로토콜이 주를 이룬다.RESTful 기술을 기반으로 CoAP, MQTT, 그리고 새로 보이는 Ponte 등의 프로토콜에 대한 간단한 소개가 있다. Recently approved by the IETF,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oAP) moves a step clo..
IT 2013. 7. 1.
[외부자료] 사물인터넷 동향
대동소이한 내용들이 계속 올라들 오고 있네요.깊이있는 내용은 하질 않아~~누구도일단 동향은 흐름이니 읽어봐도 나쁠건 없지 2020년에는 약 240억대의 단말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되어 글로벌 시장은 1조 9,8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들의상태 전송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인터넷의 정보를 조직하고 전송하는규칙의 조합을 의미한다. REST는 리소스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상의 문서,이미지, 서비스와 같은 정보를 지칭하고 클라이언트 서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소스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처리를 지원한다. MQTT(Message Que..
IT 2013. 2. 20.
[외부자료] Beyond 4th Generation(B4G) 이동통신 기술 분석
요소기술들이 많네.일단 M2M 이 눈에 띈다. 기본적으로 표준화 작업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는 것 인가?하나 더, Ad hoc 망 처럼 각각의 단말기가 중간 노드로써 혹은 직접 통신을 하는 형태 (즉, 중간 기지국이나 AP를 거치지 않고)의 기술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네. 이런쪽의 연구가 활발해 질 듯, 이론들이야 기존에 많이 나와 있지만.. 이런 글들은 고객 끄덕이면 읽으면 되지만..궁금한 것은 실제 구현은 어떻게 다들 할까? 누군가가 해주겠지..ㅋㅋ..머 리눅스 이런데 대충 구현이 되면 가져다 쓰는 게 일반적인데 첫 구현물을 만드는 인간들은 존경스러울 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