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IoT | Hardware 2019. 6. 24.
W5500 + STM32 프로젝트 - 허봉춘씨의 IoT 보드 개발해보기
초보개발자 허봉춘씨의 IoT 보드 개발해보기 사용한 칩셋은 TCP/IP chip W5500 + STM32 MCU 입니다. 강의자료로 작성되었던 파일을 공유합니다. 글 작성자 블로그 http://engschool.tistory.com/ Engineer School Embedded 엔지니어 분들을 위한 Engineer School입니다. engschool.tistory.com (http://wiznetacademy.com) 링크로 들어가시면 더 자세한 정보(?)나 다른 강의도 볼 수 있어요~~ [임베디드 인터넷]허봉춘씨의 파란만장 IoT 보드 구현하기 초보도 쉽게 따라하는 강의자료를 한 번 볼까요 ^^ 허봉춘씨의 파란만장한 IoT 보드 만들기 from Bongjun Hur 컴파일러는 무료 컴파일러인 Cooc..
IT/IoT | Hardware 2015. 6. 16.
MQTT 정리
#MQTT 가 무엇인가?약자나 정의는 많이 나와 있다. 구글신에 기대면 엄청난 중복 정보들이 나온다.http://mqtt.org/faq 의 정의를 보자.MQTT stands for MQ Telemetry Transport. It is a publish/subscribe, extremely simple and lightweight messaging protocol, designed for constrained devices and low-bandwidth, high-latency or unreliable networks. The design principles are to minimise network bandwidth and device resource requirements whilst also att..
IT 2014. 7. 17.
Sensors as a Service on the IoT - ARM Connected Community
요즘은 비교적 저렴하고 효과적인 센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IoT에 걸맞게 통신을 겸비한, 이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와 있다. ARM에서 백서를 나름 각 요소 기술별로 소개를 해준다. Sensors as a Service on the Internet of Things WP.pdf (315.6 K)View Download 그 중 통신을 위한 기술들 소개부분에서 발췌..센서노드이므로, 가벼운 프로토콜이 주를 이룬다.RESTful 기술을 기반으로 CoAP, MQTT, 그리고 새로 보이는 Ponte 등의 프로토콜에 대한 간단한 소개가 있다. Recently approved by the IETF,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oAP) moves a step clo..
IT 2013. 7. 1.
[외부자료] 사물인터넷 동향
대동소이한 내용들이 계속 올라들 오고 있네요.깊이있는 내용은 하질 않아~~누구도일단 동향은 흐름이니 읽어봐도 나쁠건 없지 2020년에는 약 240억대의 단말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되어 글로벌 시장은 1조 9,8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들의상태 전송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인터넷의 정보를 조직하고 전송하는규칙의 조합을 의미한다. REST는 리소스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상의 문서,이미지, 서비스와 같은 정보를 지칭하고 클라이언트 서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소스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처리를 지원한다. MQTT(Message Que..
IT 2013. 2. 20.
[외부자료] Beyond 4th Generation(B4G) 이동통신 기술 분석
요소기술들이 많네.일단 M2M 이 눈에 띈다. 기본적으로 표준화 작업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는 것 인가?하나 더, Ad hoc 망 처럼 각각의 단말기가 중간 노드로써 혹은 직접 통신을 하는 형태 (즉, 중간 기지국이나 AP를 거치지 않고)의 기술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네. 이런쪽의 연구가 활발해 질 듯, 이론들이야 기존에 많이 나와 있지만.. 이런 글들은 고객 끄덕이면 읽으면 되지만..궁금한 것은 실제 구현은 어떻게 다들 할까? 누군가가 해주겠지..ㅋㅋ..머 리눅스 이런데 대충 구현이 되면 가져다 쓰는 게 일반적인데 첫 구현물을 만드는 인간들은 존경스러울 뿐 ^-^/
IT 2012. 12. 13.
개방형 IoT 플랫폼 기술 동향
KEIT 자료.개방형 IoT 플랫폼이 제목이긴 하지만, 관련 내용은 별로없고 전반적인 IoT에 관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음..앞으로 고려사항으로 제시한 내용중에 개방형 플랫폼이 포함되어 있음..누굴위한..진짜 중소 혹은 상생을 위한 정책이 도출되면 좋으련만~~통신사 중심의 공급체계에서는 개방형이라는 게 모순인듯~~ ▶ 신규 서비스 발굴 및 시장형성 노력과 더불어 IoT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저렴한 통신 모듈 및 다양한 센서의 생산과 보급• 많은 IoT 단말에 대한 표준이 제정되지 않아 IoT 게이트웨이는 단말을 만들 때 마다 통신기술에 맞는 별도의제품을 개발해야 하는 실정으로 통신 모듈 및 센서의 가격하락에 장애요인으로 작용- 무선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따른 표준화 작업이 시급• 4G 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