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같으면 포인터, 약간 유사한 개념이 들어가 있는 것 같다.
일단 공부하기 위해 제일 맘에 드는 사이트 검색
mingrammer.com/understanding-the-asterisk-of-python/
파이썬의 Asterisk(*) 이해하기
파이썬은 타 언어에 비해 비교적 연산자 및 연산의 종류가 풍부한 편이다. 특히 파이썬이 지원하는 많은 연산자중 하나인 **Asterisk(*)**는 단순히 곱셈
mingrammer.com
잘 읽어보자.
일단
**body 머 이렇게 쓰여진 코드가 있던데,
body에 저장된 객체가 dict 형태의 object 같으면 이 내부를 접근하거나 레퍼런스 사용하기 위해 **body 형태로 넘기면 전체가 잘 넘어간다. 머 이정도로 이해하고 마무리하고, 자세한 것은 더 읽어보고 정리하도록 하자.
얍!

Sayantan Kundu 님의 사진, 출처: Pexels
'IT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flask - 접속 IP 어드레스 알아내기 (0) | 2021.01.11 |
---|---|
파이썬 flask Mongodb 연결하기 - flask_mongoengine (0) | 2021.01.11 |
파이썬 - 문자열에 변수 값 넣는 방법 (0) | 2020.12.22 |
파이썬 - for enumerate 함수 예제 (0) | 2020.12.22 |
파이썬 - Flask 사용법 - 틀 만들기 (2)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