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2008. 7. 23.
ASN.1 BER
SNMP 등의 메시지 구조를 ASN.1 이란 형식에 따라 정의하도록 되어 있네 ASN.1 컴파일러 판매 사이트 : http://www.nltelecom.com/nlt/product/object_systems/asn1c.html ASN.1 문법을 C code로 generation ; sourceforge 에 공개된 컴파일러도 있음 아래는 간단한 기술 내용 원본 : 마이크로소프트 ASN.1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은 구현에 관계없이 표준을 정의하는 언어이며 표준 작성자가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CalTech의 John Smith는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의사 소통하는 데 필요한 절차를 표준화하는 권고안을 만들기 위해 ASN.1 표기법으로 권고안을 작성하여 IT..
IT 2008. 6. 2.
고품격의 MIT 강의를 듣자
^^ 역시 자료는 많다. 세상은 넓고.. 출처 : http://bluedrim.tistory.com/57 OCW를 운용하고 있는 대학들을 살펴보면, 미국은 MIT를 시작으로 해서 Wiki 기준으로는 아래의 대학들이 실제로는 더 많은 대학들이 운용중입니다.. Carnegie Mellon: Open Learning Initiative Foothill-De Anza Community College District: Sofia Project Johns Hopkins University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JHSPH OpenCourseWare MIT OpenCourseWare Rice University: Connexions Tufts University: Tufts O..
IT 2008. 5. 5.
Emule 0.48a
현재 사용하는 에뮬버전.. 실시로 바뀌는 서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자공 ^^ http://ed2k.2x4u.de/index.html http://www.gruk.org/list.php 가용은 그 파일을 현재 공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실제 공유하고 있는 숫자는 가용의 수치의 0.7~4배정도임) 입니다. 이 가용 수치가 높을 수록 다운 받는 속도가 빠름니다. (많은 사람이 공유하니깐, 그 만큼 빠르겠죠) 완전한 소스는 그 공유자들 중에서 100% 온전한 파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비율입니다. 완전한 소스가 0%인 경우는 대부분 가짜 파일이거나 다운이 완벽히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완전한 소스의 수치가 높을 수록 파일을 받을때, 95% 이상에서 100% 완료 될때 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IT/블로그 2008. 4. 11.
블로그, 위키 관리
출처 : http://www.joinc.co.kr/modules/moniwiki/wiki.php/JCvs/Search/Document/SEO/SEO_01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방식은 블로그로 소통을 하고 위키로 컨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서 지식정보화 시키는 방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외국에서는 꽤나 일반적인 방식이기도 하다. 이 방식의 또다른 장점은 컨텐츠의 배포경로를 두군대로 할 수 있다는데 있다. 배포경로가 다양하다는 것은 검색이 더 잘된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블로그컨텐츠와 웹문서로 분류될 수 있는 위키컨텐츠는 문서의 중요도가 산정되는 방식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구글검색을 보더라도 블로그검색과 웹문서검색은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다. 블로그문서는 웹로그라는 특성상 시간문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