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DB 2021. 7. 15.
MongoDB - 이미지 파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 입력하기
요거요거 DB 에 바이너리 데이터를 입력해 둬야 한다. 머 FTP를 이용해서 파일은 따로하고, DB에는 Meta 데이터만 넣고 처리할 수 있으나 한번에 되는게 효율적이긴 하고 사용자도 더 편리할 듯~~~~ 다행히 MongoDB 를 쓰기 위해 사용준인 MongoEngine에는 FileField 라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예제를 아래 페이지에서 찾아 낼 수 있었다. https://www.tutorialspoint.com/mongoengine/mongoengine_gridfs.htm MongoEngine - GridFS - Tutorialspoint MongoEngine - GridFS In MongoDB, the files with size larger than 16 MB are s..
IT/파이썬 2021. 7. 1.
Flask REST API 구현 중 파일 업로드는?
JSON 기반의 메시지가 왔다 갔다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파일 업로드 혹은 이미지 바이너리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해야 한다면 어떻게 전달해 줘야 하나? Form-data 로 파일 받기 일단 상식처럼 HTTP form-data 로 처리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JSON에 그냥 바이너리를 넣으면 안되나?) 파일 사이즈도 그렇고 처리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알아놔야 한다. 일단 레퍼런스 페이지 부터 조사해서 남겨두자. 아래에 정리해둠. DB 필드로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그리고, 들어온 파일 바이너리를 MongoDB에 저장해야 하는데 이건 또 다른 영역이군. FileField 가 따로 있는 것인지? from mongoengine import FileField # If you are using FileFiel..
IT/Software 2018. 1. 31.
CR LF CRLF 헷갈려
CR, LF, CR LF 의 히스토리 : http://ohgyun.com/554 헷갈려서 한번 필요한 내용만 발췌 윈도우는 캐리지리턴(CRLF, \r\n), 유닉스/리눅스에선 리턴(LF, \n). CR = Carriage ReturnLF = Line Feed CR 과 LF 는 줄바꿈을 의미하는 컨트롤 캐릭터이고, 각각 0x0D (13 decimal), 0x0A (10 decimal)를 가리킨다.윈도우는 CR LF 를, 유닉스는 LF를, 맥의 초기 버전(9 버전 이하)은 CR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