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Cloud 2023. 7. 3.
KT Cloud - K2P (KT Cloud Kubernetes Pack) Enterprise
KT 에서 K2P (KT Cloud Kubernetes Pack) Enterprise 설치를 해 보려 하니 하자 마자 에러가 똭!!! https://cloud.kt.com/product/container/containerCluster/ 암튼 해결은 되었다. KT 클라우드 콘솔에서 K2P-Enterprise를 생성시 오류가 났다. 상태가 계속 오류 상태이며, 오류 메시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Bootstrap 노드 설정 FAILED [FCF]-None: bootstrap up check failed.. 해결책은 마스터 노드의 하드웨어 스펙이 어느 정도 이상이어야 한다는.... master Node 최소 스펙은 4 core/16 GB으로 클러스터 재생성 시 master Node 4core/16GB 이상으로 생..
IT 2009. 9. 10.
IMS - network operator가 돈벌려면
점점 무선망과 유선망의 통합이(큰예로 NGN, IP 망을 기반으로 한 통합망) 가시화 되고 있다. KT는 SKT가 되려고 SKT는 KT가 되려고 다들 발버둥인것 처럼 보이네. SKT야 망사용료 서비스 사용료를 다 받아챙기고 있는 마당에 망의 통합화 인터넷 망 기반의 망의 진화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나? 구글이나 네이버가 기존의 망의 혜택을 일방적으로 누리면 돈을 벌어가듯이 일반 AS나 P2P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VoIP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면 Network operator(망사업자라고 해야 하나)는 단순한 망의 제공으로 얻어지는 이익 이외에는 어떤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 이런 상황에서 계속적인 투자(좀더 발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혹은 망의 관리를 하나로 통합하여 비용을 줄이는 이유등으로)는 어떻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