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2010. 11. 2.
IPv6 Platforms for WSN 비교 논문 - paper
원본위치 : http://www.waset.org/journals/waset/v62/v62-164.pdf 로컬링크 : 현재 나와 있는 IPv6 Platform들을 비교해 놓은 자료인다. 머 특별한 내용은 없다. 다만 젠부 ZigBee를 기반으로 한다는 거. 즉 6LoWPAN이다..과연 WLAN 은 경쟁력이 없는 걸까..걍 기반을 뺏긴것일까요? 무튼..대동 소이한 스펙이다. 사이즈를 눈여겨 볼까.. 대충 IPv6 stack 의 구현에는 12Kbyte 미만의 RAM과 2Kbyte의 ROM이 기본이군.. 그래도 다들 먼가의 OS 를 쓰고 있으므로, 순수한 구현 사이즈는 아니겠죠.. 라우팅도 이슈네요..멀티홉 라우팅..혹은 Ad hoc라우팅..등등 네트워크를 이뤄가야 하는 것 중요하죠.. 각자의 장점으로 내세우..

IT 2010. 7. 21.
[네트워크] lwIP TCP/IP stack 설명 자료
좀 오래된 자료이지만, 임베디드 환경에서 S/W TCP/IP 스택을 구해서 작업해야 한다면 한번씩은 참고하게 되는 자료. 원본주소는 여기 : http://www.sics.se/~adam/lwip/doc/lwip.pdf 아주 예전 자료이지만, 기본은 변하지 않는다. 아래 코드 사이즈를 보면 대충 감이 오는 복잡도 UDP 만 구현한다면 왠만한 마이컴에는 큰 무리 없이 포팅이 가능할 듯 하다. 그리고, 여기 위키 사이트도 반드시 참고하길..http://lwip.wikia.com/wiki/LwIP_Wiki lwIP Wiki lwIP - lightweight TCP/IP lwIP is a light-weight implementation of the TCP/IP protocol suite that was orig..
IT 2010. 6. 29.
Contiki..Embedded Internet S/W stack
http://www.sics.se/contiki/ uIP stack을 개발해서 배포하고 있는 Adam Dunkels 를 주축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가장 가벼운 network stack이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방향인듯.. uIP (혹은 lwIP)로 알려진 마이컴에 적합한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곳에서 지속적으로 IP USN을 타킷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벌써 이렇게 많이 진행해 놓았고, 현실성이 있어 보인다. IPv6로의 전이를 위한 준비도 잘 되어 가고 있고, 연구를 지속성 있게 차분하게 진행하는 듯 하여 부럽군..부러워 What features of IPv6 does uIPv6 implement? We implemented all the MUSTs of RFC4294 IPv6 Node R..
IT 2010. 3. 8.
[hdl] verilog 에서 explicit data type 으로 사용하기
how to assert error during compiling when using signal before declare.. 키워드는 바로 요거 `default_nettype none // turn off implicit data types 이렇게 하면 wire 를 선언하지 않고 그냥 쓰게 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해야 오타등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잘못된 signal name 을 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가 쓰고 싶은 wire(signal) name 이 abcd 였는데, 쓰다가 abce로 쓰더라도 그 에러를 찾기 힘들다. 기본적으로 선언하지 않은 것은 그냥 wire 선언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머든 정확하게 선언하고 쓰는 것이 에러를 줄이는 길이라 생각해.. ..w..
IT 2010. 2. 17.
[HDL] VHDL conditional compile #ifdef 사용하기
VHDL 이 나의 생각엔 구조나 사용법이 개발에 사용하는데 크게 무리는 없어 보이는데, 꼭 하나 걸리는 것은 C언어등에서 쓰이고, 물론 verilog 에서는 당연히 지원하는 #ifdef 과 같은 conditional compiler을 하기 위한 문법을 지원하지 않는 것이 가장 불편한 듯 하다. 여기저기 조사해 본 바로, 직접 지원하는 것은 없는 것으로 보여..또 삽질로..ㅜㅜ 그래도 완전 삽질은 조금 그렇지 ^^ 조금 불편해도 이렇게는 쓸수 있을 듯.. 바로 GNU C compiler등에서 제공되는 Pre-compiler를 통해 가능할듯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의 vhdl src는 오른쪽의 소스에서 pre-compiler를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보다시피..#define, #ifdef 등을 사용한 소스가..
IT 2010. 2. 16.
[Computer 컴퓨터] 각종 단위 호칭, SI Prefixes, 이 클럭은 몇 나노일까?
헐..88MHz 클럭이 들어가면 도대체 한클럭이 몇나노일까? 정답은..(맨아래에 있음^^) 헉 또 헷갈림..1 나누기 88MHz 하고 보니 소숫점 쫙 나노 밀리..에공 나온김에 정리해보장.. 단위들을 부르는 호칭들을 정리한 페이지 위키피디아 : http://en.wikipedia.org/wiki/SI_prefix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specifies a set of unit prefixes known as SI prefixes or metric prefixes.그냥 테이블을 캡쳐해서 가져와서 보면, 짜짠~~(저작권이 문제가 되려나..쩝 출처표기는 했는데 *^^*) (from http://en.wikipedia.org/wiki/SI_prefix) 맨날 부르..
IT 2010. 2. 12.
[Util] WinMerge 파일비교 툴
제가 사용하는 파일비교, 디렉토리비교 툴 중에 가장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툴 프로젝트 사이트는 http://winmerge.org/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로딩됩니다. 다운로드 누르고, 인스톨 하시면 무료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죠. 간단하게 스크린 샷을 보면, 위의 File 메뉴에서 두파일을 선택해서 비교 하면 위와 같이 다른 부분이 하이라이트 해서 보이네요. (탐색기 같은 곳에서 간단하게 두파일을 선택하신 후 오른쪽 버튼을 살짝 눌러 WinMerge를 선택하셔도 물론,) 그리고, 필요하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다른 부분을 보낼수도 있고 고급 기능으로 들어가면 머 버전컨트롤과 연동해서 쓰는 부분도 있긴하지만, 그런걸 안써도 충분히 유용한 툴 강추임돠~~ ..^O^..wi..
IT 2010. 2. 9.
[SoC] ARM Cortex-M1 Core
2010.02.09 업뎃!! ARM Cortex M1 소개하는 동영상입니다. CortexM 시리즈는 저전력 lowend 타킷으로 밀고있는 제품 - ARM사의 fpga 지원 플랫폼 소개 : http://www.arm.com/fpga/index.html - ARM에서 평가용으로 소개하는 플랫폼 (컴파일러까지 포함해서 판매) : 2500불로 홈페이지에 나와 있네요. 일단 M1의 경우 FPGA에 포팅된 보드가 있어 테스트가 용이해 보이고, (actel, altera에서 지원하는 보드가 있음) - Actel사의 Cortex-M1 소개 페이지 : http://www.actel.com/products/mpu/cortexm1/default.aspx -- 일단, Actel은 한국 퓨처일렉을 통해 지원 요청, 대리점을 통..
IT 2010. 1. 18.
[리소스] mini webserver with SSL
업뎃/ 오픈소스쪽에도 레퍼런스할 만한 곳이 있네. http://axtls.sourceforge.net/index.htm 2002년 대학교 과제 정도로 시도한 것 같은데. 과제 설명과 간단한 결과파일 http://www.cs.cmu.edu/~srini/15-441/F02/ http://www.cs.cmu.edu/~srini/15-441/F02/Projects/lab01/docs/lab01.pdf (돌려보지는 못해서 어떤 수준인줄은 모르겠음 *^-^*) SSL 강의 동영상..but english.. http://ilserver.sp.cs.cmu.edu/view.pl?id=1105 간단한 웹서버의 구현에 유용한 웹페이지 인듯.. http://www.jmarshall.com/easy/http/#toc HTT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