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2010. 11. 2.
IPv6 Platforms for WSN 비교 논문 - paper
원본위치 : http://www.waset.org/journals/waset/v62/v62-164.pdf 로컬링크 : 현재 나와 있는 IPv6 Platform들을 비교해 놓은 자료인다. 머 특별한 내용은 없다. 다만 젠부 ZigBee를 기반으로 한다는 거. 즉 6LoWPAN이다..과연 WLAN 은 경쟁력이 없는 걸까..걍 기반을 뺏긴것일까요? 무튼..대동 소이한 스펙이다. 사이즈를 눈여겨 볼까.. 대충 IPv6 stack 의 구현에는 12Kbyte 미만의 RAM과 2Kbyte의 ROM이 기본이군.. 그래도 다들 먼가의 OS 를 쓰고 있으므로, 순수한 구현 사이즈는 아니겠죠.. 라우팅도 이슈네요..멀티홉 라우팅..혹은 Ad hoc라우팅..등등 네트워크를 이뤄가야 하는 것 중요하죠.. 각자의 장점으로 내세우..
IT 2010. 9. 20.
Why IP? - in the Smart Object..왜 IP인가
IPSO협회의 Why IP? 백서를 토대로 작성한 글입니다. (http://ipso-alliance.org/) IP는 IOT (The Internet of Things) 실질적으로 수많은 기기들과의 통신을 구현할 가장 효과적인 기술이다. 이미 인터넷을 통해 경험을 해 버렸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네트워크에 별도의 통신망을 따로 구현한다는 것이 얼마나 불편하고 결국 없어질 것이라고 예견해 볼 수 있다. 영어로, 이 세가지가 어려워진다. design manage deploy 그래도 굳이 상세하게 따져물어본다면,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이유가 나올 수 있다. IP is Open and Standard, 아시다시피 IP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 아래로 많은 다양한 계층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기술은 이미 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