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2013. 2. 20.
[외부자료] Beyond 4th Generation(B4G) 이동통신 기술 분석
요소기술들이 많네.일단 M2M 이 눈에 띈다. 기본적으로 표준화 작업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는 것 인가?하나 더, Ad hoc 망 처럼 각각의 단말기가 중간 노드로써 혹은 직접 통신을 하는 형태 (즉, 중간 기지국이나 AP를 거치지 않고)의 기술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네. 이런쪽의 연구가 활발해 질 듯, 이론들이야 기존에 많이 나와 있지만.. 이런 글들은 고객 끄덕이면 읽으면 되지만..궁금한 것은 실제 구현은 어떻게 다들 할까? 누군가가 해주겠지..ㅋㅋ..머 리눅스 이런데 대충 구현이 되면 가져다 쓰는 게 일반적인데 첫 구현물을 만드는 인간들은 존경스러울 뿐 ^-^/
IT 2012. 12. 13.
개방형 IoT 플랫폼 기술 동향
KEIT 자료.개방형 IoT 플랫폼이 제목이긴 하지만, 관련 내용은 별로없고 전반적인 IoT에 관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음..앞으로 고려사항으로 제시한 내용중에 개방형 플랫폼이 포함되어 있음..누굴위한..진짜 중소 혹은 상생을 위한 정책이 도출되면 좋으련만~~통신사 중심의 공급체계에서는 개방형이라는 게 모순인듯~~ ▶ 신규 서비스 발굴 및 시장형성 노력과 더불어 IoT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저렴한 통신 모듈 및 다양한 센서의 생산과 보급• 많은 IoT 단말에 대한 표준이 제정되지 않아 IoT 게이트웨이는 단말을 만들 때 마다 통신기술에 맞는 별도의제품을 개발해야 하는 실정으로 통신 모듈 및 센서의 가격하락에 장애요인으로 작용- 무선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따른 표준화 작업이 시급• 4G 기..
IT 2010. 11. 5.
PACHUBE - 주목할 서비스..for IP-USN, WSN
원대한 꿈을 꾸는 서비스다.. 유럽에서 시작하는 것인가. 모르겠다 마는 책(하나 보면서 여러글을 쓴다 ㅋㅋ 생색내기인가..나를위한 정리인가..무튼..Interconnecting Smart Object with IP란 책)에서 얼핏보고 들어가서 보니 완죤 멋있다. http://www.pachube.com/ Store, share & discover realtime sensor, energy and environment data from objects, devices & buildings around the world. Pachube is a convenient, secure & scalable platform that helps you connect to & build the 'internet of thi..
IT 2010. 11. 5.
JSON data format for IPUSN, USN, WSN..
XML보다 데이터를 표현하기 편리한 형태의 데이터 표기법..꼭 편리하다기 보단 javascript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고 만질 수 있으니 여러군데 응용이 되기 쉽겠다.. 요기 블로그 글만 봐도 전부 이해하는데 힘들지 않음..정말 잘 쓰셨넹 ^^ http://www.dogsound.kr/70096404278 (수정) 자 센서 데이터를 표현해보자..간단히..이름, 데이터.. {"sensors" : [{"name" : "온도", "value" : "20"}] }
IT 2010. 11. 1.
Why are GATEWAYs BAD? - in interconnecting smart object with IP
복잡하다고 하는 맨날 하는 얘기들..정리하는 차원에서.. 두가지 이유로 정리한다. 1. Inherent Complexity (기본적으로 복잡함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운명) 당연하겠지만, multiprotocol translation gateway는 단순한 패킷의 모양만 바꾸어 주는 기능보다 훨씬 복잡한 상황을 끌어 안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걍 말하면 관리, 라우팅(한글로 머라고 할 말이), 또 요즘 이슈가 되는 QoS(품질관리) 등도 gateway가 감당해야 할 의무..힘들겠다..그리고 문제 발생시에 대응부분도 큰 일이 되어 버린다는 최악의 시나리오.. 2. Lack of Flexibility and Scalability (유연함과 확장성의 어려움) 새로운 디바이스의 등장이나, 혹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IT 2010. 9. 28.
IP for WSN - Paper
IP is Dead, Long Live IP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Our results outperform existing systems that do not adhere to any particular standard or architecture. In light of this demonstration of full IPv6 capability, we review the central arguments that led the field away from IP. We believe that the presence of an architecture, specifically an IPv6-based one, provides a strong foundation for wirele..
IT 2010. 9. 20.
Why IP? - in the Smart Object..왜 IP인가
IPSO협회의 Why IP? 백서를 토대로 작성한 글입니다. (http://ipso-alliance.org/) IP는 IOT (The Internet of Things) 실질적으로 수많은 기기들과의 통신을 구현할 가장 효과적인 기술이다. 이미 인터넷을 통해 경험을 해 버렸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네트워크에 별도의 통신망을 따로 구현한다는 것이 얼마나 불편하고 결국 없어질 것이라고 예견해 볼 수 있다. 영어로, 이 세가지가 어려워진다. design manage deploy 그래도 굳이 상세하게 따져물어본다면,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이유가 나올 수 있다. IP is Open and Standard, 아시다시피 IP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 아래로 많은 다양한 계층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기술은 이미 표..
